재생 에너지 현황에 대해 알아보자
- 지식
- 2020. 11. 12. 17:17
REN21이 펴낸 ‘재생에너지 2018 재생에너지 현황보고서4)’에 따르면 전 세계 많은 국가에서 재생에너지가 경쟁력 있는 에너지원으로 확고히 자리 잡았음을 보여준다. 2017년은 재생에너지 설치 면에서 기록적인 한 해였다고 합니다. 재생에너지 발전용량은 기록적으로 늘어나서 178GW 용량이 신규로 설치되었다고 합니다. 현대적인 재생에너지 열용량도 꾸준하게 증가하였고, 수송부문에서도 재생에너지 사용이 확대되었다고 합니다. 분산형 재생에너지는 세계적으로 에너지 부유층과 빈곤층 간의 격차를 점차 좁혀 가고 있다고 합니다.
2016년 기준 세계 최종 에너지 소비 중 재생에너지 비중은 18.2%에 달한다고 합니다. 현대적인 재생에너지는 세계 최종 에너지 소비의 10.4%를 차지하였고 재래식 바이오매스의 비중은 7.8%에 머물렀다. 현대적 재생에너지 중에서 주로 열에너지의 비중이 최종 에너지의 4.1%로 가장 크고 그 다음 수력 3.7%, 태양광과 풍력 등 발전 1.7%, 바이오연료가 0.9% 순이라고 합니다. 난방과 조리용으로 직접 때우는 나무, 목탄, 나뭇잎, 농업찌꺼기, 폐기물, 가축 분뇨 같은 재래식 바이오매스는 주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동남아시아와 인도의 농촌 지역, 남미의 농촌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2017년 파리협약에 따라 NDC를 제출한 168개국 중 109개국은 재생에너지 목표를 가지고 있고 36개국이 재생에너지 조치를 언급했다고 합니다. 또한 도시, 마을, 기업들이 재생에너지 확대에 자발적으로 나서고 있다고 합니다.
세계 재생에너지 보급과 투자를 주도하는 나라는 중국이라고 합니다. 수력, 태양광, 풍력, 태양열 온수 등 여러 분야에서 중국이 보급과 투자를 주도하고 있다고 합니다. 미국은 바이오디젤과 바이오에탄올 등 바이오연료 생산을 브라질과 같이 주도하면서 동시에 수력, 풍력과 태양광 확대도 활발하다고 합니다. 일본은 태양광, 독일은 풍력 분야 투자를 유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새로운 재생에너지 시장으로 인도가 부상하고 있으며 영국도 해상 풍력의 보급이 활발한 편이라고 합니다.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이오매스 에너지 소개 (0) | 2020.11.12 |
---|---|
ESS 보급 활성화 방법은? (0) | 2020.11.12 |
세계 에너지 전망은? (0) | 2020.11.12 |
풍력터빈 발전시스템의 구성 (0) | 2020.11.12 |
풍력발전산업의 특징 (0) | 2020.11.11 |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