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은 살며 수많은 목표를 세운다. 그리고 그 중 대부분은 어느새 잊혀지고 만다. 그리고 이를 반복한다. 왜 이런 일이 반복될까? 작심삼일이란 말은 정말 이러한 인간의 습성을 꿰뚫는 말 같다.
목표는 어떻게 세워야 할까? 작심삼일이 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1. 목표에는 데드라인이 필요하다. 살 3키로 빼기란 목표를 세우고 끝내면 안된다. 몇월 몇일까지 살 3키로 빼기란 목표를 세워야 한다.
2. 목표를 세웠으면 보이는 곳에 붙여둬야 한다. 에버노트와 같은 어플을 사용한다면, 목표장을 만들고 매일 아침 저녁 1회씩 보며 상기시키자. 인간의 뇌는 잊는데 특수화 되어있기 때문에 이러한 노력은 필수다.
3. 목표를 구체화하고 측정 가능해야 한다. 구체적이지 않은 목표는 방향을 제시하지 못한다. 가령 말 잘하기란 목표는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도 애매할 뿐만 아니라 목표를 이뤘는지 측정할 수도 없는 것이다. 최대한 목표를 구체화 시키고 정량화 시키자.
4. 목표를 이미지화 해야 한다. 목표를 머리 속에 자주 떠올리며 이미지화해보자. 그러면 그 목표를 더 갈망하게 되고 더 큰 노력을 쏟아붇기 쉽다. 또한 목표에 대해 점점 더 머리속에 구체화되며 그를 향한 길도 무의식적으로 구상하게 된다.
인생의 재미는 목표를 이루는 것이 아니다. 목표를 향한 과정에 있다. 진부적인가? 그렇지 않다. 우리가 목표를 이루기 위해 몰입하게 되면 그 순간을 즐기기 쉽게 된다. 집중하지 않거나 수동적인 TV 시청과 같은 여가 시간보다 생산적이면서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것이다. 당장은 TV 시청이 더 즐거울지도 모르지만 장기적으로 바라보면 분명 더 큰 즐거움, 보람참을 얻을 수 있다. 그 과정에서 자존감이 높아지고 자신의 능력도 증가하게 된다.
목표는 자주 피드백을 받을 수 있도록 구상해야 한다. 2년 후 결과를 볼 수 있는 목표라면 집중도도 떨어지고 중간에 지치기 쉽다. 목표를 잘게 쪼개는 것도 한가지 방법이다.
그럼 오늘도 꿈을 향해 한걸음 나아가자.
'자기계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가시간은 어떻게 보내야 할까 (0) | 2021.03.04 |
---|---|
인생이 의미없다고 느껴질 때 대처법 (0) | 2021.02.17 |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