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력발전산업의 특징
- 지식
- 2020. 11. 11. 17:34
떠오르는 풍력발전산업의 특징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겠다.

1. 풍력발전산업의 개요
전 세계 탄산가스 배출은 2010년 310억 톤에서 2040년 450억 톤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 상되고, 이로써 전 세계 평균온도는 2100년에는 지금보다 약 2~11℉가 상승할 전망 이라고 합니다. 2014년 전 세계 풍력발전 총량은 500GW로서 이는 전 세계 전력생산의 3%를 차지 하고, EU는 2020년까지 풍력발전 비율을 20%까지 높이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고 합니다.
수평축 대형 풍력발전기의 효율은 실용적으로 30~45% 수준이고, 풍력발전 효율의 이론 적 한계는 약 59.36%로 보고되고 있다고 합니다. 풍력발전 산업에는 풍력발전 단지의 조성, 전력 망과 송배전 체계 구축, 발전시스템과 부품의 제조 및 인증, 발전시스템의 운영, 온-오프 모니터링, 정비유지, 에너지 저장시스템 등을 포함한다고 합니다.
육상풍력에 비해 해상풍력은 바람이 풍부하고 강한 풍속으로, 변화가 적고 대형 터빈을 사용하면 더 높은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고 합니다. 지금 상용화 되어 있는 대형 풍력터빈은 5MW 용량으로 로터 직경이 약 125미터이고 허브는 지상이나 해수면 위로 약 125미터 높이에 설치하고 있으며, 향후 로터의 대형화 추세 전망을 예시하였다고 합니다. 더욱이 해상풍력은 소음과 경관에 대한 주민의 불만과 민원의 영향이 적으므로 해안에서 먼 거리에 해상 풍력발전 단지의 설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라고 합니다.


2. 풍력발전 시장 현황
2014년 50GW의 신규 풍력발전 설비가 설치되어 세계 풍력발전 설치용량은 400GW에 도달하였고 2020년에는 700GW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합니다.중국, 미국, 독일, 스페인, 인도의 5개국이 세계 설치용량의 72%를 차지하고, 유럽은 117GW를 확보하고 있다고 합니다. 2000년에 세계 최대 풍력터빈은 2MW이었는데 현-재는 로터직경이 171m인 8MW의 풍력터빈을 설치하고 있고, 향후 로터직경이 180m인 10MW 풍력터빈의 출현이 예상된다고 합니다.
EWEA에 의하면 유럽에서 풍력에너지 생산은 매년 23.5%씩 증가하여 향후 2020년까지 180GW, 2030년까지 300GW에 도달할 전망이라고 합니다. 지멘스는 요-즘 스페인 Gamesa를 합병하면서 육상과 해상 모두 광범위한 세계 네트워크를 보유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젠비온은 유럽, 미국, 캐나다는 물론 확대되는 아시아 시장을 잡기 위해 인도, 일본 등에 사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요-즘 203㎿ 규모의 독일 해상 프로젝트에 32개 해상 풍력터빈을 공급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 에너지 전망은? (0) | 2020.11.12 |
---|---|
풍력터빈 발전시스템의 구성 (0) | 2020.11.12 |
태양광 발전 개념 및 용어 (0) | 2020.11.11 |
풍력발전 기술의 장단점 및 종류 (0) | 2020.11.11 |
구글 애널리틱스 업그레이드(GA4) - 사이트 연결 방법 (1) | 2020.11.02 |
이 글을 공유하기